본문 바로가기
반려동물

치와와 성격과 특징 그리고 주의사항

by 고소한현미 2023. 6. 20.
반응형

세계에서 가장 작은 견종 중 하나로 알려진 견종이 있습니다. 바로 치와와인데요. 오늘은 귀가 쫑긋한 모습으로 앙증맞고 튀어나온 눈이 귀여운 치와와의 성격과 특징 및 주의사항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반응형

치와와

치와와 성격

치와와를 상징하는 단어가 있습니다. 바로 ‘분노’라는 단어인데요. 치와와는 겉보기에는 너무나 앙증맞고 사랑스러운 견종이지만 짜증을 잘 재는 성격으로도 유명합니다. 치와와는 작은 체구에도 불구하고 불같은 성격을 갖고 있으며 심지어는 겁도 없는 편입니다. 맹렬한 공격성을 가지고 있으나 작은 체구 덕에 오히려 하찮아 보이기도 하죠. 질투심도 많으며 고집도 무척이나 세기 때문에 보호자가 허락 또는 방관한다면 가정에서 지배자의 자리를 일인자, 지배자의 자리를 차지할 성격을 가지고 있습니다.

 

사실 치와와는 주인을 포함하여 누구에게도 쉽게 복종하지 않는 성격으로 유명한 견종입니다. 별개로 치와와가 충성심이 높은 견종이라고도 많이 알려져있기도 하지만 이는 주인이 아닌 모든 이에게 적대적인 행동을 보이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사실은 독립심과 자존심이 몹시 강한 편이라 주인에게도 별다른 이유 없이, 본능적으로 말을 따르지 않으려는 행동을 자주 보이며 주인을 이겨먹으려고 하는 모습도 어렵지 않게 볼 수 있습니다.

 

치와와 특징

치와와는 세상에서 가장 작은 견종 중 하나입니다. 평균 체고가 13cm ~ 20cm, 체중은 1kg ~ 2kg 정도로 매우 작은 편이죠. 이정도 사이즈면 약 1.5L 생수병 정도의 사이즈입니다. 너무나 귀엽지 않나요? 치와와의 특징은 장모종, 단모종이 모두 존재한다는 것인데요. 모색은 또 다양한 편입니다. 붉은색, 갈색, 검은색, 담황색, 얼룩, 노란색 등 특정 컬러가 치와와의 모색이라고 할 수도 없을 정도로 다양한 컬러와 다양한 무늬를 가지고 있습니다. 치와와는 모색이 아닌 골격과 생김새로 구분이 가능합니다. 동그란 두상에 살짝 돌출된 큰 눈, 눈과 비슷한 크기의 길지 않은 코를 갖고 있으며 그냥 귀여움 그 자체의 얼굴입니다.

 

치와와는 몸을 잘 떠는 편인데 이러한 행동의 이유로 추위를 많이 타기 때문이라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하지만 실제로 치와와가 몸을 떠는 정확한 이유는 알 수 없으며 인터넷에서는 화가 많아서, 겁이 나서 또는 추워서 등의 이유로만 추측할 수 있습니다. 또한 치와와는 단모, 장모 가릴 것 없이 털 빠짐이 많은 견종입니다. 털이 긴 장모 치와와가 털 빠짐이 더 심하지 않을까 생각할 수 있겠지만 장모와 단모 둘 다 털 빠짐이 심한 편으로 입양하실 때 참고하실 부분입니다.

 

치와와 주의사항

치와와는 매우 작은 견종이기 때문에 늘 부상에 주의하여야 합니다. 활동적인 성격으로 실내 생활 시에도 소파나 침대 등 가구를 계속해서 오르내릴텐데요. 이때 자칫 골절로 이어지기가 쉽습니다. 작은 만큼 충격에 약하기 때문에 계단을 설치해 두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치와와를 반려견으로 맞이하기 위해서는 치와와를 위해 집을 좀 맞춰주어야 합니다. 예를 들면, 바닥면 충격을 완화하기 위해 매트를 깔아두는 것이 좋습니다. 바닥 매트를 깔게 되면 미끄럼 방지도 되기 때문에 고관절과 슬개골 탈구 예방에 매우 효과적이죠. 또한 높은 곳을 오르내리기 쉬운 계단을 설치해 주시면 조금 더 편안하고 안전하게 생활할 수 있습니다.

 

소형견들은 성견이 된 이후에도 천공이 닫히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런 경우에도 천공에 충격이 가해지지 않도록 조심하여야합니다. 천공은 두개골이 자라면서 닫혀야 되는 지점이 닫히지 않는 부분입니다. 사람과 같이 강아지도 어릴 때에는 여러 개의 연한 머리뼈가 있고, 뼈와 뼈 사이에 틈이 존재하는데 이를 천공 또는 천문이라고 부르죠. 이는 성장하면서 뼈가 단단해지고 서서히 붙게 되며 닫히는 게 자연스러운 현상이지만 소형견들은 종종 닫히지 않는 경우도 많이 볼 수 있습니다. 건강상의 문제는 발생하지 않지만 충격에 약하기 때문에 충격이 가해지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합니다.

 

 

반응형

댓글